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가 한국 서비스 철수를 발표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 절묘한 타이밍에 네이버의 신규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이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기존 트위치 유저와 스트리머를 끌어오는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치지직은 트위치와 유사한 인터페이스, 서비스 등 '트위치와 비슷하다'는 점을 어필하려는 듯 보인다. 치지직 베타 서비스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현재 스트리머와 시청자 분위기는 어떤지 주관킴이 정리해 본다.
1. 화질
치지직은 기본적으로 1080p 해상도의 화질을 지원한다. 프레임의 경우 60 프레임, 혹은 30 프레임이 방송마다 다르게 적용되는데, 기준은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았으나, 방송의 규모나 파트너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 트위치 화질이 720p로 제한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화질 측면에서 트위치 대비 큰 강점을 가진다. 위 사진을 자세히 확인해 보면 그 차이가 꽤나 크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 그 이전 트위치는 1080p 화질을 지원했고, 경쟁 플랫폼인 아프리카TV 역시 1080p 화질을 지원하고 있다(아프리카TV는 그 이상의 화질도 일부 지원중). 즉, 현재 치지직의 화질은 기존 트위치 유저 입장에서는 더 나은 경험으로 느낄 수 있으나, 치지직만의 강점으로 보기는 어렵다.
2. 후원 시스템
트위치의 후원 단위는 '치즈'이다. 정가 기준 1치즈당 1.1원, 100치즈는 110원이다. 단, 이는 웹사이트 충전 기준이고, 아이폰으로 결제할 시 3,300원에 2,500치즈가, 6,000원에 5,000치즈가 충전된다. 정가 기준 1치즈당 1.32원으로 아이폰 결제가 웹사이트 결제보다 비싼 것. 심지어 현재 할인가를 살펴봐도 아이폰 쪽이 더 비싸다. 즉, 아이폰 이용자들은 모바일로 결제 시 손해다.
그런 한편, 치즈를 충전할 때 무려 '네이버 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치지직 후원 시스템의 큰 강점으로 꼽힌다. 복잡한 결제 방식을 사용해 충전할 거 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네이버 페이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부분이 왜 중요한가 하니, 네이버 쇼핑, 네이버 웹툰 등 네이버에서 한 번이라도 네이버 포인트를 충전했던 유저라면, 정말 간단하게 치즈를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웹툰 쿠키를 굽고 남은 포인트로 후원을 한다'든지, '쇼핑을 하고 남은 돈으로 후원을 한다'든지, '카드 혜택으로 받은 네이버 포인트를 후원으로 사용한다'든지, 후원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3. UI UX
치지직의 UI UX는 사실 트위치와 거의 똑같다. 아예 대놓고 그렇게 만든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기존 트위치 유저라면 아무런 이질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라는 것이 유저들의 평이다. 방송을 클릭해 들어갔을 때 기준, 왼쪽에는 팔로우하는 채널과 추천 채널 리스트가 위치해 있고, 가운데에는 방송 화면과 제목이, 오른쪽에는 채팅창이 배치되어 있다. 스트리머의 방송을 보다가 다른 스트리머 방송으로 빠르게 넘어갈 수 있는 배치가 특징이라면 특징이다(트위치와 동일).
현재 유저들 사이에서 불만이 제기되는 부분은 '다크 모드'와 관련된 부분이다. 치지직은 다크모드가 기본 세팅으로, 심지어 변경도 할 수 없다. 유저들은 선택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데, 베타 서비스 이후 개선될지 지켜볼 부분이다.
4. 기타 서비스
이외에도 치지직에서 제공하는 기타 서비스를 간단하게 나열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1) 트위치 구독기간 이어가기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구독'서비스를 통해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스트리머를 후원할 수 있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월 단위로 구독이 이뤄지며, '구독 N개월째'와 같이 연속적으로 구독을 할 경우 그것이 기록처럼 갱신되는 식이다. 트위치 서비스가 종료하면서 유저들은 이렇게 쌓은 구독 개월 수가 없어지는 것을 우려했는데, 치지직과 아프리카TV 모두 구독 개월 수를 그대로 이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2) VOD 서비스
치지직은 방송이 끝난 후 해당 라이브 방송을 다시 볼 수 있도록 VOD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역시 기존 트위치에 있었지만 비용 이슈로 중단된 기능이고, 아프리카TV에서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3) 주간 후원 랭킹 표시 기능
주간 후원 랭킹이 채팅창 상단에 표시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주에 가장 많은 치즈를 후원한 시청자의 닉네임이 걸리는 형식.
4) 동시 송출 가능
치치직 베타 서비스 첫날에는 타 플랫폼에서 방송을 동시송출 하는 경우 치즈 후원을 받을 수 없었다. 파트너에 가입하고 치지직에서만 단독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경우에만 후원을 받을 수 있었던 것. 그러나 현재는 베타 테스트 기간 동안은 동시 송출 시에도 치즈를 후원받을 수 있도록 정책이 변경된 상태이다. 베타 테스트 기간에만 그런 것인지는 추후 확인해봐야 할 것이다.
5. 현재 스트리머, 유저들의 반응은?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렵겠지만, 트위치에서 활동하던 스트리머들은 치지직에 우호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기존 트위치 유저들 역시 트위치 스트리머의 치지직 이적을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3가지로 추려볼 수 있다.
1) 트위치와 유사한 구조로 이전 시 적응이 용이함
2) 다른 선택지인 '아프리카TV'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을 가지고 있는 트위치 유저들이 다수 있음
3)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스포츠 중계, 네이버 페이, 네이버 멤버십 등)와의 연계 가능성이 기대감을 높임
실제로 트위치 팔로워 65.7만 명, 유튜브 구독자 47.3만 명이 넘는 대형 스트리머 '한동숙(동수칸TV)', 스트리머 전문 MCN '인챈트'의 이사이자 대형 스트리머인 '따효니' 등, 여러 트위치 스트리머가 치지직 완전 이적을 결정하는 등 트위치 스트리머들의 치지직 이적이 이뤄지고 있다.
아직 베타 서비스인 만큼, 여러 가지 개선이 진행될 수도, 안 좋은 방향의 변화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속단할 수는 없다. 베타 서비스 이후 치지직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 끝!
[주관킴의 주관적인 마케팅]을 구독하고 트렌드 리포트&마케팅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지극히 주관적인 마케팅 인사이트] - "이게 메타버스지" '악어의 놀이터'가 보여준 메타버스 마케팅의 힘[주관적인 마케팅 인사이트]
"이게 메타버스지" '악어의 놀이터'가 보여준 메타버스 마케팅의 힘[지극히 주관적인 마케팅 인
'마인크래프트'를 알아야 '악어의 놀이터'를 알 수 있다 최근 유튜브와 인터넷 방송계에서 '악어의 놀이터'가 큰 이슈로 떠올랐다. 그렇다면 '악어의 놀이터'는 대체 무엇이고 메타버스와는 무슨
justmymarketing.tistory.com
[지극히 주관적인 트렌드] - 신규 SNS '스레드(Threads)', 트위터와 다른 점 & 첫날 반응 총정리 [주관적인 IT 트렌드]
신규 SNS '스레드(Threads)', 트위터와 다른 점 & 첫날 반응 총정리 [주관적인 IT 트렌드]
※ 바쁜 현대인을 위한 세 줄 요약은 글 하단으로! 신규 SNS 플랫폼 '스레드(Threads)'가 7월 6일 오늘 오픈했다. 그래서 이게 트위터인지, 트위터가 아닌지, 트위터랑은 뭐가 다른지, 지금 분위기는
justmymarketing.tistory.com
[지극히 주관적인 트렌드] - '당근마켓'이 아니라 '당근'이라고? 커머스 앱의 '마켓 빼기' 그 이유는? [주관적인 IT 트렌드]
'당근마켓'이 아니라 '당근'이라고? 커머스 앱의 '마켓 빼기' 그 이유는? [주관적인 IT 트렌드]
바로 어제, 옷을 구경하려고 당근 마켓 앱을 여는 찰나 뭔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당근마켓'의 이름이 '당근'으로 바뀐 것. 당근뿐만 아니라, 최근 커머스 앱 사이에서 일명 '마켓 빼기'가 이뤄
justmymarketing.tistory.com
'지극히 주관적인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표 막는 NFT? NFT 티켓에 진심인 현대카드 [지극히 주관적인 트렌드] (2) | 2024.02.02 |
---|---|
'당근마켓'이 아니라 '당근'이라고? 커머스 앱의 '마켓 빼기' 그 이유는? [주관적인 IT 트렌드] (5) | 2023.08.30 |
유노윤호 'NEXUS' 쇼트 필름에 등장한 AI 영상, 나도 만들어보고 싶다면? [주관적인 IT 트렌드] (2) | 2023.08.07 |
왕가 탕후루, 길거리음식의 프랜차이즈화. 그 이유는?[주관적인 F&B 트렌드] (2) | 2023.07.18 |
신규 SNS '스레드(Threads)', 트위터와 다른 점 & 첫날 반응 총정리 [주관적인 IT 트렌드] (0) | 2023.07.06 |